맨위로가기

위진남북조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진남북조 시대는 후한 멸망 이후 서진의 통일(220년 ~ 280년)과 서진 멸망 이후 수나라의 통일(589년)까지의 중국 분열 시대를 통칭한다. 이 시기는 삼국 시대, 오호 십육국 시대, 남북조 시대로 세분되며,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 육조 시대로도 불린다. 위나라에서 시작된 구품관인법, 둔전제, 현학, 청담사상 등은 이 시기에 사회, 문화, 정치 체계에 영향을 미쳤다. 잦은 전란과 이민족의 유입은 중국어의 변화를 가져왔고, 266년부터 413년까지는 일본과의 교류가 단절되어 '일본 역사 공백의 4세기'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위진남북조 시대
개요
시대중국
존속 기간220년 ~ 589년
이전후한
이후수나라
구분
삼국 시대220년 ~ 280년
서진265년 ~ 316년
오호십육국 시대304년 ~ 439년
동진317년 ~ 420년
남북조 시대420년 ~ 589년
주요 사건
황건적의 난184년
동탁의 난189년
관도 대전200년
적벽 대전208년
영가의 난311년
비수 대전383년
국가
220년 ~ 265년
촉한221년 ~ 263년
229년 ~ 280년
서진265년 ~ 316년
동진317년 ~ 420년
오호 16국304년 ~ 439년
남조420년 ~ 589년
북조386년 ~ 581년

2. 시대 구분

위진남북조 시대는 남북조 시대의 사회, 문화, 정치 체계가 위나라에서 어느 정도 정립되었기 때문에 위나라와 함께 묶어서 부르는 시대 구분이다. 위나라에서 관리를 선발하던 제도였던 "구품관인법"은 남북조 시기 구품중정제로 정착되었고,[2] 중국 토지제도의 기반인 둔전제도 위나라에서 처음 시작되었다.[3] 또한 남북조 시대에 크게 유행한 현학[4]이나 청담사상[5] 역시 위나라 때부터 이론적 토대가 제공되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남북조 시대에 유행하던 건안문학[6]이나 해서체가 위나라에서 유래했다고 보기도 한다.

이 시대를 나타내는 명칭은 여러 가지가 있다. 220년부터 280년까지는 삼국 시대, 304년부터 439년까지는 오호 십육국 시대, 439년부터 589년까지는 남북조 시대라고 부른다. 이와는 별도로, 장강 유역(중국어판, 영어판)의 문화와 경제 발전을 중요시하여 육조 시대라고도 부른다.

이처럼 명칭이 다양하고 서로 겹치는 시기가 있어 매우 복잡하다. 184년 황건적의 난 시점부터 중국 분열 시대의 시작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와, 서진의 통일 기간이 매우 짧으므로 이를 포함해 한 시대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을 합쳐 위진남북조 시대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2. 1. 삼국시대

220년 후한 멸망 이후 , , 삼국이 정립한 시기(220년~280년)이다.[1] 이 시대에는 위, 오, 촉 삼국이 서로 패권을 다투었다.[1]

2. 2. 서진

280년 서진의 통일 시대는 불과 31년이라는 짧은 시간으로 끝나고, 311년 영가의 난으로 실질적으로 멸망했다(완전히 멸망한 것은 316년이다).[1]

2. 3. 오호십육국시대

311년 영가의 난으로 서진이 실질적으로 멸망하자, 사마예 등 살아남은 진나라 황족과 귀족은 남쪽으로 도망쳐 건강에 망명 정권인 동진을 세웠다. 한편, 화북 지역에서는 서진을 멸망시킨 전조를 시작으로 흉노 등 남하한 유목 민족이 중심이 된 나라들이 흥망했다. 서진을 멸망시킨 전조(처음 국호는 한)가 흥기한 304년부터 439년 북위에 의한 화북 재통일까지를 오호 십육국 시대라고 부른다. 그러나 '호(胡)' 자에는 이민족에 대한 차별적인 의미가 있어 사용을 자제하고, 그 대신 '동진 십육국'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다만 오호 십육국 시대의 범위에는 동진 멸망 후의 20년 정도도 포함되어 있어, 이 용어도 완전히 적절하다고는 보기 어렵다.

2. 4. 남북조시대

439년 북위가 화북을 통일하고, 남쪽의 동진이 멸망한 후 , 제, , 등의 왕조가 교체된 시기(439년~589년)이다.

2. 5. 육조시대

삼국 시대동진에서 , 제, , 까지의 여섯 왕조를 합쳐 육조 시대라고도 부른다. 이는 강남(중국어판, 영어판) 지역(장강 유역)에 발전한 문화와 경제를 중요시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3. 시대적 연결성

위나라는 남북조 시대 사회, 문화, 정치 체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위나라의 관리 선발 제도, 토지 제도, 사상, 문화는 남북조 시대에 큰 영향을 주었다.[2][3][4][5][6]

3. 1. 구품중정제

위나라의 관리 선발 제도였던 구품관인법은 남북조 시기에 구품중정제로 정착되었다.[2]

3. 2. 둔전제

중국 토지 제도의 기반인 둔전제는 위나라에서 처음 시작되었다.[3]

3. 3. 사상과 문화

남북조 시대에 크게 유행한 현학[4]과 청담사상[5]은 위나라 때부터 이론적 토대가 제공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남북조 시대에 유행하던 건안문학[6]이나 해서체가 위나라에서 유래했다고 보기도 한다.

4. 중국어의 변화

이 시대는 서진의 일시적인 통일 시대가 있었지만, 잇따른 전란으로 인해 인구 감소와 민족의 대이동이 일어났다. 특히 오호 십육국 시대 이후, 많은 이민족이 중원 지역에 개입하면서 북방 중국어에 극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이후 수나라가 남북조를 통일하고 당나라 초기에 이르기까지 중국 전역의 언어가 중고음의 중고 중국어로 변화하였다.[1]

4. 1. 상고 중국어의 변화

팔왕의 난 이후, 이민족의 지배 교체가 있을 때마다 지배한 이민족에게 유리한 발음으로 변화하여, 서진 이전의 상고 중국어에 나타났던 sl-, pl-, kl-, gn- 등의 복잡한 자음군은 소멸하고 단순화되었다.[1] 반면, 고대 한민족이 피난한 남방 지역은 음절 말 자음이 남아 현대에도 객가어, 월어, 민어, 오어 등의 남방 방언에 계승되었다.[1]

4. 2. 남방 방언

서진의 일시적인 통일 시대가 있었지만, 잇따른 전란으로 인해 인구 감소와 민족의 대이동이 일어났다. 고대 한민족이 피난한 남방 지역은 음절 말 자음이 남아 현대에도 객가어, 월어, 민어, 오어 등의 남방 방언에 계승되었다.[1]

5. 일본 역사 공백기

266년부터 413년까지 중국 역사 문헌에 왜국에 대한 기록이 없어, 일본 역사에서는 이 시기를 "공백의 4세기"라고 부른다.[1]

5. 1. 교류 단절

이 시기는 서진, 동진 시대와 겹치며, 270년부터 277년까지 량주에서 선비계의 탁발수기능 등이 일으킨 비한족의 대규모 반란, 오나라 침공과 멸망, 팔왕의 난, 영가의 난 그리고 오호 십육국 시대 등 잦은 대규모 전란으로 당시 일본의 여러 국가와의 교류가 단절되었기 때문이다.

참조

[1] 서적 中國通史‧魏晉南北朝史‧第二章 魏晉南北朝的社會型態 1992
[2] 웹인용 9품관인법 https://terms.naver.[...] 2024-11-20
[3] 웹인용 9품관인법 https://terms.naver.[...] 2024-11-20
[4] 서적 The Craft of a Chinese Commentator: Wang Bi on the Laozi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0-01-06
[5] 백과사전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 | Chinese literary group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8-06-05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